본문 바로가기

SMALL

전체 글

(173)
금융투자상품인 CMA계좌란? 오늘은 CMA, 즉 자산관리계좌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이 상품은 유동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분들에게 꽤 인기가 있는데, 왜 그런지,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CMA(자산관리계좌)란?CMA(Cash Management Account)는 자산관리계좌라고도 불리며, 고객이 예치한 자금을 기업어음(CP), 양도성예금증서(CD), 국공채 등의 채권에 투자하여 그 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는 금융투자상품입니다. 일반적인 예금과는 달리, 수시 입출금이 가능하며 하루만 예치해도 이자가 지급된다는 장점이 있어, 단기 자금을 운용하는 데 유용합니다. 또한, 은행 계좌와 연계하여 ATM 기기를 이용한 입출금, 체크카드 발급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CMA는 투자 대상에 따라 RP형, MM..
세계 경제지표로 활용되는 다우존스지수는 무엇일까? 세계 경제의 바로미터라 할 수 있는 '다우존스지수'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경제 뉴스를 접할 때 종종 듣게 되는 이 용어,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다우존스지수란?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 DJIA 또는 Dow)는 미국의 다우존스 회사에서 발표하는 주가 지수로,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된 30개 대형 기업들의 주식 가격을 평균하여 산출됩니다. 세계적인 대표 주가지수로 꼽히며, 미국 증권시장의 동향과 시세를 알려주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다우존스지수의 역사는 1884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월스트리트 저널의 편집자인 찰스 다우(Charles H. Dow)가 처음으로 개발하였으며, 이후 1896년에 에드워드 존스(Ed..
역사상 최악의 주가 폭락 사건 '검은 목요일' 오늘은 조금은 무거운 주제를 가지고 왔는데요, 바로 역사 속에서 큰 충격을 준 '검은 목요일'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경제와 주식 시장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이 사건, 알아보도록 할게요.'검은 목요일'이란?'검은 목요일(Black Thursday)'은 1929년 10월 24일 목요일에 미국 뉴욕 월스트리트에서 발생한 주식 시장의 대폭락 사건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 사건은 전 세계적으로 대공황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여겨지며, 역사상 최악의 주가 폭락 사건 중 하나로 꼽힙니다.1920년대 미국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경제 호황을 누리며, 주식 시장도 급격하게 성장했습니다. 그러나 1920년대 후반부터 미국 경제는 과열되기 시작했고, 기업들은 과도한 부채를 떠안게 되었..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