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주식시장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용어, 공매도란?

반응형
SMALL



주식 투자를 시작하면서 많이 듣게 되는 용어 중 하나가 '공매도'인데요.

오늘은 '공매도'란 무엇인지, 왜중요한지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주식시장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용어, 공매도란?
공매도란?


공매도란?

공매도는 주식 시장에서 투자 전략 중 하나로 사용되는 거래 방식입니다.

이것은 소유하지 않은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후, 가격이 하락했을 때 다시 매수하여 빌린 주식을 상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공매도는 일반적인 주식 거래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숏 셀링(Short Selling)'이라고도 불립니다.

이러한 거래 방식은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수익을 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현재 주당 10,000원에 거래되고 있는 주식이 향후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투자자는 해당 주식을 빌려서 10,000원에 매도합니다.

이후 실제로 주가가 8,000원으로 하락하면, 투자자는 8,000원에 동일한 주식을 다시 매수하여 빌린 주식을 상환합니다.

이로써 투자자는 주당 2,000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매도는 주가가 상승할 경우에는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만약 예상과 달리 주가가 상승한다면, 투자자는 더 높은 가격에 주식을 매수하여 빌린 주식을 상환해야 하기 때문에 손실을 보게 됩니다. 

공매도는 주식 시장에서 유동성을 높이고 가격 발견 기능을 강화하는 등의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일부 투자자들에게는 불공정한 거래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어 규제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공매도의 기본 원리와 작동 방식

공매도의 기본 원리는 간단합니다.

특정 주식의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믿는 투자자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투자자는 해당 주식을 소유하고 있지 않지만, 증권사 등에서 주식을 빌려서 매도할 수 있습니다.

이를 '대차거래'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주식의 현재 가격이 10,000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투자자는 A주식을 빌려서 10,000원에 매도합니다.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투자자는 주식을 다시 매수하여 빌린 주식을 갚아야 합니다.

만약 예상대로 A주식의 가격이 8,000원으로 하락했다면, 투자자는 8,000원에 같은 주식을 다시 사서 빌린 주식을 갚습니다.

이렇게 하면 투자자는 주당 2,000원의 이익을 얻게 됩니다.

즉, 자신이 판 가격보다 더 싸게 주식을 사서 갚을 수 있기 때문에 이익을 얻는 것입니다.

하지만 예측이 틀렸을 경우엔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만약 A주식의 가격이 11,000원으로 올랐다면, 투자자는 11,000원에 주식을 사서 갚아야 하므로 1,000원의 손해를 보게 됩니다.


공매도의 역사와 시장에서의 역할

공매도는 꽤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1602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세계 최초의 증권거래소가 설립되었을 때부터 이미 공매도 거래가 이루어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현대적인 형태의 공매도는 20세기 초 미국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시장에서는 다양한 역할을 합니다.

우선, 주가 버블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주가가 과도하게 상승하면, 공매도를 통해 주가 하락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주식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 유동성을 공급하는 역할도 합니다.

주식을 빌려서 매도하기 때문에,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모두 유동성을 증가시킵니다.

이로 인해 거래가 더욱 활발해지고, 시장의 효율성이 향상됩니다. 

마지막으로, 투자 전략의 하나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공매도를 함으로써 수익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위험도 크기 때문에,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공매도와 관련된 주요 용어


먼저, 숏 셀링(Short Selling)이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이는 주식을 빌려서 판 후, 가격이 떨어지면 다시 사서 갚는 투자 방식을 말합니다.

이때 빌린 주식을 '대차주식'이라고 하며, 숏 셀링을 하는 투자자를 '숏 셀러'라고 부릅니다.

다음으로, 업틱룰(Up-tick Rule)이라는 제도가 있습니다.

이는 공매도를 할 때, 매도 가격을 직전 체결 가격보다 높게 설정해야 한다는 규칙입니다.

즉, 가격 하락을 유도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도입니다.

마지막으로, 쇼트 커버링(Short Covering)이라는 행위가 있습니다.

이는 숏 셀러가 빌린 주식을 갚기 위해 다시 주식을 사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쇼트 커버링은 주가 상승을 유발하는데, 숏 셀러들이 빌린 주식을 갚기 위해 주식을 사야 하기 때문입니다.

 


공매도의 장단점

장점으로는 먼저 시장의 유동성을 높인다는 점이 있습니다.

공매도는 가격 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에서도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시장의 유동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장점은 버블 형성을 방지한다는 것입니다.

주가가 과도하게 상승할 때, 공매도를 통해 거품을 제거하고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점도 존재합니다.

먼저 주가 하락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숏 셀러들이 대량으로 주식을 매도하면, 주가가 급격하게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선의의 투자자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불공정 거래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부 세력이 의도적으로 주가를 조작하여 공매도를 통해 수익을 얻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시장의 공정성을 해칠 수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공매도에 영향을 미치는 시장 요인

먼저, 금리 변동은 공매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금리가 상승하면 기업들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고, 이는 기업들의 실적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주식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공매도를 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경제 지표 발표 역시 공매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 입니다.

경제 지표가 예상보다 나쁘게 나오면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되면서 주가가 하락 압력을 받게 되고, 이는 공매도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이슈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특정 기업이나 업종에 대한 규제 강화나 세금 인상 등의 정책이 발표되면 해당 분야의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져 공매도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반응형
LIST